목록전체 글 (37)
개발 기록
참고 자료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si468_&logNo=221465784013&from=search&redirect=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 1차시 면접 1. 지금까지 개발해왔던 경험들을 바탕으로, 기술적인부분에서의 간략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지금까지 해왔던 Android Studio 관련 프로젝트나 동아리활동, 최근 Kotlin 을 공부중이라는 부분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2. Thread 와 Process 의 차이점을 설명해주세요 모두 프로그램의 실행과 관련된 단어들 입니다. 차이점은 Process는 실행의 단위, Thread는 Process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로 Pr..
참고자료 https://itmining.tistory.com/5 서론 안드로이드의 UI는 기본적으로 메인스레드를 주축으로하는 싱글 스레드 모델로 동작하므로, 메인 스레드에서는 긴 작업을 피해야 합니다. 즉 긴 작업은 여분의 다른 스레드에서 실행하고 UI를 바꿀 때는 UI 스레드로 접근하도록 스레드가나 통신 방법을 사용해야합니다. 이 때 사용하는 것이 Message나 Runnable 객체를 받아와 다른 곳으로 전달해주는 Handler 클래스입니다. 이미지를 받아와 UI에 표시해줄 때, AsyncTask와 더불어 많이 사용하고 있죠. Handler와 Looper의 필요성 핸들러를 생성하는 스레드만이 다른 스레드가 전송하는 Message와 Runnable 객체를 받을 수 있다. Handler와 Looper 이..
공식문서나, 관련 서적을 읽을때 URI,URL이라는 단어가 등장하는데 둘이 차이점을 정확하게 몰라서 정리한 글이다. 두개가 같다고 생각했는데, 조사하고 정리하면서 둘의 차이를 명확하게 알게되었다.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자원 예전에는 URL이 가르키는게 파일 소스 요즘은 Rewrite등의 아파치,톰켓등의 핸들러 때문에 자원이라고 부름 웹사이트 주소가 요청하는 파일이라기 보다는, 구분자로 보는 것 웹 상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서버들에 있는 파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 http://blong.com/work/test.pdf 는 blog.com서버에서 work폴더안의 test.pdf를 요청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 ..
참고자료 https://jw910911.tistory.com/18 안드로이드의 4대 컴포넌트에 대해서 설명해보세요. 안드로이드의 4대 컴포넌트로는 액티비티, 서비스, 브로드캐스트리시버, 콘텐트 프로바이더가 있습니다.(액서브콘) 액티비티는 안드로이드에서 화면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다양한 이벤트를 처리하는데 사용됩니다. 서비스는 화면에서 보이지 않지만 특정한 기능을 백그라운드에서 처리하는데 사용됩니다.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는 안드로이드에서 발생하는 특정 브로트캐스트 메세지를 처리하기 위한 컴포넌트입니다. 콘텐트 프로바이더는 앱 사이의 데이터의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컴포넌트입니다. 안드로이드의 액티비티와 액티비티의 수명주기에 대해서 설명해보세요. 안도르이드에서 화면을 관리하며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다양..
참고 문서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yca11&logNo=221389847130&categoryNo=24&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참고자료 https://opentutorials.org/course/3385
참고자료 https://recipes4dev.tistory.com/153 불러오는 중입니다...
Recycler view 작동원리 23개의 inner class와 inner interface로 구성되어 있다. 필수요소는 3가지 LayoutManager: itemview의 위치와 크기, 갯수를 지정하는 역할 Adapter: 보여지는 view들에 data set을 연결시켜주는 역할 ViewHolder: Recycler view에 위치한 itemview와 data의 속성을 정의하는 역할 Listview와 Recyclerview 차이점 Listview는 getView()를 호출하여 list를 뿌리게 되는데 화면 스크롤시 getView()함수가 계속해서 호출되게 되어 inflate(xml 에 씌여져 있는 view 의 정의를 실제 view 객체로 만드는 역할) 를 통해서 view가 생성되며 동시에 find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