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개발 기록

URL, URI 개념 정리 및 비교 본문

웹 자료

URL, URI 개념 정리 및 비교

기록개발자 2020. 1. 12. 00:08

  공식문서나, 관련 서적을 읽을때 URI,URL이라는 단어가 등장하는데 둘이 차이점을 정확하게 몰라서 정리한 글이다. 두개가 같다고 생각했는데, 조사하고 정리하면서 둘의 차이를 명확하게 알게되었다.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 자원
  • 예전에는 URL이 가르키는게 파일 소스
  • 요즘은 Rewrite등의 아파치,톰켓등의 핸들러 때문에 자원이라고 부름
  • 웹사이트 주소가 요청하는 파일이라기 보다는, 구분자로 보는 것
  • 웹 상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서버들에 있는 파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통합 자원 식별자

  •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이다.

  • URI의 존재는 인터넷에서 요구되는 기본조건으로서, 인터넷 프로토콜에 항상 붙어다님

  • URI의 하위개념에 URL,URN이 포함되어 있다.

  • URI의 보편적인 형태가 URL인데, URI의 부분집합으로 볼 수 있다.

    • 자원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차
    • 어떤 자원을 가지고 있는 특정한 컴퓨터
    • 컴퓨터 상의 유니크한 자원의 이름(파일명)
  • http://test.com/test.pdf?docid=111 이라는 주소는 URI이지만 URL은 아니다.

    • http://test.com/test.pdf 까지만 URL임(주소의 위치)
    • docid=111이라는 쿼리스트링의 값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게됨, 따라서 식별자 역할을 하고 있음
  • http://test.com/test.pdf?docid=111 ,http://test.com/test.pdf?docid=112는 같은 URL을 가지고 다른 URI를 가짐

URN (Uniform Resource Name)

  • 위치와 상관없이 리소스의 이름값을 이용해서 접근하는 방식
  • 노출된 URL은 http://blog.com/syun/222 인데, http://blog.com/syun/list/323으로 요청을 보내면 404 response를 받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위치 정보와는 무관하게 리소스를 찾을 수 있게 해주는 방식임
  • 해당 리소스의 위치정보가 아닌 실제 리소소의 이름으로 사용하는 방식

정리

  • URI에는 URL,URN이 포함되어 있다. URL은 URI이지만, URI는 URL이 아니다.
  • URL은 인터넷 상의 자원 위치를 나타냄
  • URI는 인터넷 상의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의 구성

'웹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H 개념 정리  (0) 2020.01.21
워드프레스?  (0) 2020.01.17
Socket과 Port 개념과 차이점  (0) 2020.01.10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0) 2020.01.10
Socket Programming(소켓 프로그래밍)  (0) 2020.01.10